회고록/포스코 AIㆍBig Data 아카데미 썸네일형 리스트형 [Part 2] 용의자의 신발을 찾아라: 족적 검색 시스템과 자기 지도 학습(Self-Supervised Learning) 파트 1(https://seanshkim.tistory.com/104)에선 내가 족적 검색 시스템 연구를 하게 된 배경과 처음에는 어떤 논문을 구현하려고 했는지, 그리고 그게 왜 실패로 끝났는지 자초지종을 설명했다. 이번 글에선 내가 그 다음 단계로 수행한 과정을 설명하려고 한다. 키워드 이미지 검색 시스템, 또는 image retrieval task Label FID-300 자기 지도 학습(Self-Supervised Learning, Unsupervised Learning) MSN(Masked Siamese Network) ImageNet Pretrained Model 족적 검색 시스템에서 '정답' 이미지란? 이미지 검색 시스템에서 정답(label) 데이터는 어떻게 정의할 수 있을까? 딥러닝의 이미지.. 2024. 1. 9. 17:38 ㆍ 회고록/포스코 AIㆍBig Data 아카데미 [Part 1] 용의자의 신발을 찾아라: AI 기반 족적 검색 시스템을 개발하기까지 겪었던 시행착오들 연구 인턴을 통해 내가 얻은 것 포스코 빅데이터 아카데미를 마치고 운좋게 연구 인턴에도 선정이 되어, 두 달동안 AI 연구 개발에 매진할 수 있었다. 내 성과를 요약하자면 '막다른 길을 용감하게 찾아냈고 새로운 방안을 제시한 것'이라고 포장할 수 있겠다. 그 과정에서 물론 안타까운 시행착오도 겪었고 계획대로 되지 않았던 순간도 많았지만 AI 분야와 개발 전반에서 평생 기억할 만한 인사이트를 얻었다고 생각한다. 내가 진행했던 연구를 크게 두 편으로 나누어 정리해보았다. 연구 배경 작년(2023년) 10월 중순부터 두달 간 포항공대 인공지능연구원(PIAI)에서 인턴을 하면서 진행했던 연구 내용을 정리했다. 연구원에서 진행하는 주제는 다양했지만 그 중 내가 맡은 프로젝트는 의 일환이었다. 폴리스랩 2.0은 2.. 2023. 12. 20. 13:30 ㆍ 회고록/포스코 AIㆍBig Data 아카데미 포스텍 인공지능연구원(PIAI) 23기 인턴 후기 [생활 편] 길었던 포항 살이를 드디어 마무리하게 되었다. 잠깐 서울에 올라오기도 했지만, 돌이켜보면 올 한 해 하반기 거의 내내 포항에서 보낸 셈이다. 이제야 알게 됐지만 새로운 환경과 새로운 사람들 속에서 지내면서 크고 작은 것들을 새삼 느낄 수 있었다. 아마 이번 인턴 후기 편을 작성하는 데 가장 많이 정성을 쏟아붓지 않을까? 유종의 미를 거둔다는 생각으로 이번에도 달려보자! 숙소 교육 동안에는 포스코 국제관에서 지냈었다. 하지만 인턴 기간에는 원룸을 각자 하나씩 배정받게 된다. 원룸의 장점 혼자서 방을 쓸 수 있다. 부엌과 전자레인지가 있다. 세탁기가 딸려있다. 원룸의 단점 학교와 거리가 멀다. (출퇴근 시간 약 30~40분) 청소를 알아서 혼자 해야 한다. 인턴이 총 9명이기 때문에 한 건물 안의 원룸을.. 2023. 12. 19. 20:49 ㆍ 회고록/포스코 AIㆍBig Data 아카데미 포스코 청년 AI Big Data 아카데미 23기 후기 11편: AI 최종 발표와 느낀 점 수료하고 나서 깨달은 것들 우리 조는 나 말고는 전공자가 없었고, AI 프로젝트를 제대로 구현하는 게 정말 어렵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기 때문에 처음부터 현실적인 주제로 정하게 되었다. 그래서 나온 게 이전 기수에서도 가장 많이 했던 자율주행이었고 결과적으로는 30%도 구현하지 못했다. 돌이켜보면 '어차피 실패할 거 왜 좀 더 도전적인 주제로 하지 못했을까'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우선 좋은 평가를 받기 위해선 하드웨어를 꼭 써야 한다는 강박관념이 강했다. 그리고 주제의 참신함이나 진정성(우리가 이 주제를 정말 하고 싶은가?)보다는 현실의 눈높이에 맞추다보니 오히려 우리의 프로젝트는 전혀 인상적이지 못한 것이 되어버렸다. 참고로 23기 AI 프로젝트 최우수상은 우리 반에서 나왔는데, Stable Diffus.. 2023. 12. 9. 22:23 ㆍ 회고록/포스코 AIㆍBig Data 아카데미 포스코 청년 AI Big Data 아카데미 23기 후기 10편: AI 교육에 크게 기대해선 안되는 이유 오늘 드디어(!) AI 교육에 대해서 후기를 쓰게 되었다. 일부러 제목에 약간 어그로를 끌었는데, 이유가 다 있다. 처음엔 무난하게 '~AI 교육 후기'라는 식으로 가려고 했지만 결국 포장을 까보면 '왜 내가 실망했는가'를 말하는 것밖에 안될 것 같았기 때문이다. 먼저 쉴드를 치자면 난 포스코 아카데미를 통해서 얻어간 게 정말 많다. 그리고 기업과 학교 차원에서 나를 포함한 교육 동기들에게 이렇게 훌륭한 기회를 준다는 것 자체가 매우 감사해야 할 일이라고 생각한다. 그만큼 이 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애정이 남다르기 때문에 하는 건전한 비판이라고 봐줬으면 한다(제발 신고하지 마세요ㅠㅠ) 포스코 아카데미는 누가 진행하는가? 아카데미 교육을 들어본 적 없는 분들을 위해 프로그램 진행 방식을 아래 표로 정리해봤다.. 2023. 12. 9. 17:17 ㆍ 회고록/포스코 AIㆍBig Data 아카데미 포스코 청년 AI Big Data 아카데미 23기 후기 9편: 연구 인턴 면접 후기 저번주 평일 어느 날 점심을 먹고 나서 인턴 동기랑 연구원 옆문 흡연장에서 얘기 중이었다(참고로 본인 흡연자 아님). 그때 웬 모르는 분들이 걸어오면서 내게 인사하시길래 순간 당황했다. 뭐지? 분명 눈은 똑똑히 나랑 마주쳤는데. 한참 지나고 나서야 저번에 질문을 받았던 24기 분들인 걸 깨달았다. 아, 난 얼굴 하나도 기억 못하는데 나를 알아보셨구나. 몇 주전 24기 분들과 얘기했을 때 연구 인턴 관련 질문을 꽤 많이 받았다. 그때 내가 답변을 제대로 못한 것 같아 아쉬웠다. 분명 할 얘기는 많았는데 하나도 제대로 말하지 못한 느낌? 나도 연구 인턴에 대해 아는 게 너무 없었고 면접을 마칠 때까지도 정말 아리송하기만 했다. 어느 정도로 준비해야 할까? 도대체 뭘 해야 합격할까? 마침 이번주가 인턴 생활의.. 2023. 11. 12. 22:47 ㆍ 회고록/포스코 AIㆍBig Data 아카데미 포스코 청년 AIㆍBig Data 아카데미 23기 후기 8편: 자소서, 면접, 채용박람회 아전 포스팅에서는 빅데이터 프로젝트 얘기를 한참 했다. 원래 순서라면 이제 AI 프로젝트에 대해 설명해야 하지만, 다시 딴길로 새서 다른 얘기를 해보려고 한다.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교육생들은 거의 웬만하면 취업을 염두에 두고 있기 때문에 프로그램 과정 중에도 열심히 취업 준비를 병행하는 게 대부분이다. 그럼 내 동기들은 그 바쁜 와중에도 어떻게 시간을 쪼개서 취업 준비를 했고 자기계발을 했는지 한번 살펴보자. 자소서 포스코 AI 빅데이터 아카데미 23기는 2023년 7월 3일부터 9월 22일까지였다. 특히 후반부는 하반기 공채 시즌과 정확히 겹치는 기간이라 다들 자소서 쓰느라 죽어나갔다. 대부분 동기들도 이렇게 진행했던 것 같다. 조원 간 합의 하에 AI 프로젝트를 특정 시간까지 마치고, 나머지 시간.. 2023. 10. 5. 14:09 ㆍ 회고록/포스코 AIㆍBig Data 아카데미 포스코 청년 AIㆍBig Data 아카데미 23기 후기 7편: 빅데이터 프로젝트에서 느꼈던 점 빅데이터 프로젝트 준비 기간 첫 주에는 파이썬 기초를 다루고, 2~4주차 초반까지 데이터 분석 실습을 진행했다면 4주차와 5주차에는 빅데이터 프로젝트를 본격적으로 진행한다. 내 파일 기록을 보면 빅데이터 주간 마지막 실습 과제 수정 날짜가 8월 8일이었고 최종 발표는 5주차 금요일인 8월 18일이었던 걸로 기억한다. 분명 주말에도 열심히 준비한 기억이 있으니 한 열흘(2주는 분명 아니었다) 가까이 준비할 시간이 있었던 것 같다. 아이디어 구상하기에도 짧은 기간이니까 그 전에는 데이터 분석 모델 개념을 익히고 코드도 바로바로 나올 수 있게 예습을 꼭 해두자. (부끄러운 사실이지만 나는 통계적 가설 검정을 프로젝트 하면서도 헷갈렸다) 프로젝트 구성 및 주제 선정 프로젝트는 기본적으로 각 조별로 진행한다. 즉.. 2023. 10. 5. 12:21 ㆍ 회고록/포스코 AIㆍBig Data 아카데미 이전 1 2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