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WS

AWS EKS 실습 비용 분석하기 - 1편 (AWS EKS 요금/가격) 글을 쓰게 된 배경 유데미의 도커・쿠버네티스 강의를 들으면서, AWS EKS(Elastic Kubernetes Service)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생성해보는 실습을 진행했습니다. 클러스터 생성해놓고선 깜빡 잊고 있다가 며칠 뒤 청구서 폭탄을 맞았습니다. 저처럼 별 고민없이 AWS에서 쿠버네티스 실습하다가 뒷목잡는 분이 없기를 바라며 이 글을 씁니다. 유의사항 이 글은 AWS 인프라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개발자의 글이 아닙니다. 추측과 질문이 난무할 수 있습니다. 글이 길어질 거라 1편과 2편으로 나눌 예정입니다. AWS (특히 VPC)에 대해 개념을 잘 알고 계신 분이라면 언제든지 댓글과 토론 환영합니다. 1. AWS EKS(쿠버네티스 서비스) 실습은 비싸다 모든 일의 발단은 결국 AWS(=돈)다. 그.. 2024. 4. 14. 18:19

 ㆍ 

AWS
[AWS Week 1] IAM과 AWS 권한 설정하기 IAM이란? 쉽게 말해서 AWS의 유저와 접근 권한을 관리하는 것이다. 그럼 그냥 '계정 설정(Account Settings)'이나 '로그인 창(Login)'이라고 쓰면 되지, 왜 굳이 IAM이라고 거창하게 서비스를 따로 만들어놓은 걸까? 내 추측이지만, 그만큼 AWS의 보안이 더 중요하고 까다롭기 때문에 그런 것 같다. 일반 포털 사이트나 온라인 쇼핑몰과 달리 AWS는 막대한 비용이 청구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다루고 있으며, 개인뿐만 아니라 기업 단위로 쓰기도 한다. 때문에 유저를 설정하고 권한을 부여하는 데 공을 들이는 게 어떻게 보면 당연해 보인다. 가능한 루트 계정 대신 IAM 유저로 접속해야 하는 이유 AWS을 아주 처음 시작했을 때 아이디를 만들고 패스워드 입력했다면 루트 계정(root.. 2024. 4. 2. 23:29

 ㆍ 

AWS
[AWS Week 1] Region과 Availability Zone 알다시피 AWS는 미국뿐만 아니라 전세계에서 사용하고 있는 글로벌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다. 그렇기 때문에 컴퓨팅 리소스를 호스팅하는 데이터 센터도 세계 여러 군데에 심어져 있다. Region이란? AWS 콘솔 들어가서 우상단에 보면 Global 또는 US East (N.Virginia) (사용자에 따라 다른 지역일 수도)처럼 지역 이름이 보일 것이다. region은 다른 region과 완벽하게 독립되어 있다. 만약 미국 Virginia 주 북부에 있는 AWS 데이터 센터에 슈퍼메가급 허리케인이 불어서 건물이 통째로 날라간다고 해도, 다행히 다른 지역의 데이터 센터는 멀쩡하다는 뜻이다. AWS 서비스의 제한 범위는 region이다. region에 따라 서로 지원/제공하는 서비스가 다를 수 있다는 말이다.. 2024. 4. 2. 23:24

 ㆍ 

A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