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만 설치하면 VScode에서 바로 실행이 되는 파이썬과 달리,
C언어는 별도의 과정이 필요합니다.
파이썬은 인터프리터 언어인 반면 C언어는 소스코드 파일을 기계어로 번역하는 컴파일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입니다.
윈도우에서도 VScode에다가 C, C++ 개발환경 구축하는 데 애를 먹었던 것 같은데,
과연 맥북에어 M1에서는 과정이 얼마나 복잡할지..?
우선 처음 파이썬 파일을 실행했던 것처럼 C언어 파일도 무작정 실행해보고, 발생하는 오류를 따라 필요한 과정을 밟아보겠습니다.
1. Visual Studio Code(2022.03.05 기준 ver.1.65.0)가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
2. C/C++ extension(publisher: Microsoft) 설치했다고 가정
3. CodeLLDB, CodeRunner 설치
자, 이제 간단한 C언어 소스코드를 하나 작성하고 무작정 실행해보겠습니다.
다음 소스코드를 실행해봅니다.
#include <stdio.h>
void main()
{
short student[20];
student[1] = 10;
printf("%d student[1]");
}
그리고 그 결과는,
디버그 콘솔에는 다음 에러가 발생합니다.
Warning: Debuggee TargetArchitecture not detected, assuming x86_64.
ERROR: Unable to start debugging. Unexpected LLDB output from command "-exec-run". process exited with status -1 (attach failed ((os/kern) invalid argument))
이럴 때 저희가 할 수 있는 방법은
에러 출력문 그대로 복사해서 스택오버플로우에 복사하는 것뿐...
VSCode LLDB on MacOS error when starting debugging session
I'm trying to configure VSCode for compiling/debugging C++ programs on MacOS. I am using the following launch.json file: When I try and start a debugging session, I get the following error: Warning:
stackoverflow.com
그래서 저 답변 말대로 launch.json 파일에 들어가서 "type": "cppdbg"에서 "type": lldb"로 바꾸어준 후,
다시 디버깅해보았습니다.
디버깅하고 debug console을 확인하니
아무런 에러 없이 잘 디버깅했습니다!
결국 관건은 LLDB(LLDB, Low-Level Debugger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여기: https://lldb.llvm.org/) 설정을 launch.json에서 해주는 거였습니다.
'2023년 이전 > C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fgets 함수의 예시 (0) | 2022.06.03 |
---|---|
포인터의 쓰임 1: 포인터의 복사본 만들기 + 포인터가 가리키는 값 참조하기 (0) | 2022.04.07 |
C언어: 공백을 구분해서 문자열 나누어 입력받기(feat. strtok 함수) (0) | 2022.03.28 |